윤경섭
연구소장(주)사임당화장품
윤 소장은 유기-무기 결합형 자외선차단제,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있는 홍화씨추출물 등 신소재 개발과 제품화를 통해 지난 3년간 약 300억원의 매출에 기여하였다. 특히, 세계최초로 개발한 유기-무기 결합형 자외선차단제 제조기술은 기존 수입에 의존하던 유기, 무기 자외선차단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증가시킨 신소재로 향후 자외선차단제 시장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윤 소장은 화장품 소재 및 제품 분야에만 15건의 특허를 등록하는 등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천연물 유래 주름개선 기능성 소재 개발을 통한 차별화된 효능 중심 제품의 성공적인 개발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는 천연물 유래 미백 기능성 소재 및 제품개발 등 화장품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995년 설립한 사임당화장품은 한방화장품 전문업체로 2006년 대한민국기술대전에서 산업자원부장관상,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에서 2005년부터 3년 연속 중소기업청장상을 수상하였으며, 2008년 지식경제부로부터 신기술(NET)인증을 획득하는 등 최고의 기술과 서비스로 화장품산업 대표기업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특히, 천연의 재료와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전성, 고기능성을 갖춘 제품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자연사랑, 고객만족, 자아실현이라는 사훈을 바탕으로 고객이 사랑하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 전 임직원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정인철
수석연구원두산중공업(주)
대기업 부문 수상자인 두산중공업(주) 정인철(鄭仁徹) 수석연구원은 용접분야의 기술개발에 전념해 온 전문 엔지니어로 발전설비 제작용 첨단 자동화 용접장치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달의 엔지니어상 10월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정 수석은 신형원전의 증기발생기 제작에 필요한 핵심 용접기술인 12축 구동의 매니퓨레이터형 클래딩 자동화 장치를 개발하여 4억불 이상의 해외 원전기기 수주에 크게 공헌하였다. 또한, 전자총 이동식 120kW급 대형 전자빔용접 장치를 국산화하여 40억원 이상의 고가 용접장치의 수입대체는 물론, 발전설비 및 타 산업분야에 적용하는 등 국내 에너지산업 발전에 기여하였다.
또한, 정 수석은 원자로 헤드의 노즐 곡면부 자동 용접기술을 개발하여 미국으로부터 최초로 수주한 교체용 원자로 헤드의 노즐 용접에 적용하여 지속적인 해외 원전 기기의 수주를 가능케 하였고, 정밀 자동 용접장치 등 다수의 혁신적인 용접기술을 개발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최근에는 원자력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하여 원전 기기 제작기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선진 용접기술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주)는 지난 40여년간 발전, 담수, 주단조, 건설 등 각종 플랜트의 국산화 및 해외 수출을 통해 국가 경제발전에 이바지 해왔으며, 최근에는 발전 분야의 원천기술 확보와 친환경 미래 신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세계 최고의 품질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플랜트 산업 발전에 더욱 기여하고, 존경과 신뢰를 받는 글로벌 리더 기업으로서의 역량을 구축하여 이제는 세계적인 플랜트 전문업체로서 거듭나고 있다.
고영옥
상무(주)비츠로셀
고 상무는 기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군사용, 산업용 리튬일차전지(Li/SOCl2 , Li/MnO2)를 비롯하여 현대적 유도무기 체계의 전력공급원인 열전지 및 하이브리드형 전지 등 특수전지를 개발ㆍ국산화하여 국내 리튬전지산업 발전을 위한 저변 확보에 크게 공헌하였다. 특히, 차세대 고부가가치 사업인 열전지와 하이브리드형 전지는 2007년 한해 약32억의 매출을 기록하며 시장진입에 성공하는 등 우리나라 전지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였다.
또한, 고 상무는 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24건의 특허 및 실용신안등록은 물론 국내외 학회에 논문을 게재하는 등 세계적으로 그 기술을 인정받고 있으며 현재는 군사용 전지의 저온특성 개선과 열전지, 앰플전지 성능 개선 등 다양한 신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주)비츠로셀은 1987년 리튬일차전지 제조업체로 설립하였며, 군용과 산업용(RF-ID, AMR, TRACKING, 밥솥 등) 리튬일차전지 시장에서 독보적인 기술과 매출을 이루고 있는 회사이다. 최근에는 리튬일차전지 기술과 품질을 인정받아 정부로부터 기술혁신회사(INNO-BIZ)로 인증 받았으며, 국방기술품질원으로부터 국방품질 인증시스템을 받는 등 세계 최고의 리튬일차전지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임직원 모두는 최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정순
수석연구원삼성SDI(주)
대기업 부문 수상자인 삼성SDI(주) 신정순(申政淳) 수석연구원은 리튬이온(Li-ion) 이차전지 기술개발에 전념해온 전문 엔지니어로 세계최고용량 고전압 충전방식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달의 엔지니어상 9월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신 수석은 고전압 충전방식으로 2800mAh급의 세계최고 에너지밀도를 가진 이차전지 개발에 성공하였다. 이 제품은 고용량 고전압 충전이 되면서 동시에 안정성을 높인 제품으로 경쟁방식인 저전압 충전방식에 비해 충전시간을 20%이상 단축하였으며, HP등 세계 주요 노트북 업체들로부터 최초로 승인을 획득하여 향후 2년간 약2,860억의 매출이 예상되는 등 세계 이차전지 시장에서 한국 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신 수석은 금속이물질 등에 의한 내부단락으로 발생할 수 있는 발화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전성 향상 기술을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는 등 향후 고전압 충전방식 기술표준에 대한 주도권을 확보하여 고용량 2차전지 시장에서의 리더쉽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현재는 확보된 기술들을 바탕으로 3000mAh급의 세계최고용량 고전압방식 이차전지를 개발하는 등 세계 최고의 제품 개발에 전념하고 있다.
1970년 설립된 삼성SDI(주)는 디스플레이의 혁명이라 할 수 있는 컬러브라운관에서부터 PDP, LCD와 OLED, 그리고 이동통신기기의 심장인 이차전지까지 세계 정상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바탕으로 첨단수준의 디지털 제품 개발을 통해 디지털 모바일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또한 21세기 경영의 화두가 되고 있는 '지속가능성 경영(Sustainability Management)'을 국내 최초로 도입해 신뢰받고 존경받는 글로벌 기업상을 구축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신회석
연구소장(주)씨-넷
중소기업 부문 수상자인 (주)씨-넷 신희석(申熙錫) 연구소장은 20년간 커넥터 개발에 전념해온 전문 엔지니어로 Digital Display용 초정밀 고밀도 양면접점형 커넥터 개발 및 국산화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달의 엔지니어상 8월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신 소장은 미국, 일본 등의 선진기업에 의존하던 커넥터 시장에서 고성능, 고품질의 초정밀 커넥터를 개발, 국산화 및 수출에 성공하는 등 국내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고기능성 0.5mm Pitch FPC 커넥터는 FPC 단일 ITEM 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연간 1억5천만개를 생산ㆍ공급하는 등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주)씨-넷이 매년 두배의 매출성장을 이룩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또한 신 소장은 커넥터 분야에만 10여건의 특허를 등록하는 등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첨단 커넥터인 0.3mm Pitch 커넥터, 양면 접점형 128Pin 커넥터의 개발 및 양산에 성공하여 세계적으로도 기술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는 초소형이 요구되는 휴대폰, Display 등 IT분야의 세계 최소형 커넥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국내 IT 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03년 설립한 (주)씨-넷은 커넥터 전문업체로 최단기간에 커넥터시장 진입에 성공하여, 국내외 메이저 회사에 주요 부품 공급업체로 등록되어 커넥터를 공급하는 등 세계 커넥터 시장에서의 위치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특히,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Single PPM의 우수한 품질과 빠른 대응력, 저 가격 기술들의 개발로 가격 경쟁력을 갖춤으로써 지속적인 초 고속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사람과 기술을 사랑하자는 사훈을 바탕으로 21세기 초일류 기업을 만들기 위해 전 임직원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신희석
연구소장(주)씨-넷
□ 중소기업 부문 수상자인 (주)씨-넷 신희석(申熙錫) 연구소장은 20년간 커넥터 개발에 전념해온 전문 엔지니어로 Digital Display용 초정밀 고밀도 양면접점형 커넥터 개발 및 국산화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달의 엔지니어상 8월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신 소장은 미국, 일본 등의 선진기업에 의존하던 커넥터 시장에서 고성능, 고품질의 초정밀 커넥터를 개발, 국산화 및 수출에 성공하는 등 국내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확보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고기능성 0.5mm Pitch FPC 커넥터는 FPC 단일 ITEM 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연간 1억5천만개를 생산ㆍ공급하는 등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주)씨-넷이 매년 두배의 매출성장을 이룩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또한 신 소장은 커넥터 분야에만 10여건의 특허를 등록하는 등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첨단 커넥터인 0.3mm Pitch 커넥터, 양면 접점형 128Pin 커넥터의 개발 및 양산에 성공하여 세계적으로도 기술을 인정받고 있다. 현재는 초소형이 요구되는 휴대폰, Display 등 IT분야의 세계 최소형 커넥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국내 IT 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03년 설립한 (주)씨-넷은 커넥터 전문업체로 최단기간에 커넥터시장 진입에 성공하여, 국내외 메이저 회사에 주요 부품 공급업체로 등록되어 커넥터를 공급하는 등 세계 커넥터 시장에서의 위치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특히,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Single PPM의 우수한 품질과 빠른 대응력, 저 가격 기술들의 개발로 가격 경쟁력을 갖춤으로써 지속적인 초 고속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사람과 기술을 사랑하자는 사훈을 바탕으로 21세기 초일류 기업을 만들기 위해 전 임직원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편종권
수석연구원현대자동차(주)
대기업 부문 수상자인 현대자동차(주) 편종권(片鍾權) 수석연구원은 자동차용 시트개발에 전념해온 전문 엔지니어로, 차급별 시트 표준프레임 개발 등 시트 분야의 신기술 개발로 국내 자동차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달의 엔지니어상 8월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편 수석은 최적화된 프레임 설계를 통해 선진업체 대비 원가, 중량, 개발비를 절감하면서도 충돌성능의 강화로 승객안전도를 향상시킨 시트 표준프레임을 개발하여 향후 5년간 약2,500억의 매출이 예상되는 등 현대자동차(주)의 수익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이 표준프레임은 기존 신차종별로 시트프레임을 개발하던 방식을 표준화함으로써 개발비 절감 및 개발기간 단축으로 지속적인 경제적 파급효과가 예상되는 등 한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편 수석은 세계 최초로 체압 조건과 척추형상 조건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인체 모델을 개발하고, 시트관련 DB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시트 설계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최근, 편 수석은 높아지는 충돌법규 기준에 대응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독창적이고 효율적인 기술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1967년 설립되어 현재 국내 자동차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현대자동차(주)는 해외시장으로도 활동 영역을 넓혀 한국 자동차 산업을 세계화 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의 본고장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 앨라배마에서 생산중이며 중국 및 인도 공장에서도 세계적으로 호평을 받는 등 성공적인 현지화 전략은 현대자동차 브랜드 및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 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